2025 임신,출산,육아 정책 혜택 총정리(ft. 이재명 정부 정책)
이재명 정부의
임신/출산/육아 정책이 확대된다고 하여
관련 정책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첫만남 이용권 + 지역화폐 추가지원
기존 200만원이던 첫만남 이용권
(200만원 현금) + (50만원 지역화폐) = 총 250만원
*신청 방법 : 출생신고 후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에서 신청
*인터넷신청 보다는 주민센터 신청이 더 신속
난임시술 건강보험 확대
대상 : 만 45세 이하, 소득관계없이 지원
체외수정, 인공수정까지 모두 적용 (연간 최대 2500만원 한도)
*신청 방법 : 난임진단서, 건강보험증, 부부증명서 제출 / 병원에서 자동청구(건보연계)
결혼/출산 대출 감면
대출 한도 최대 1억원
(1자녀) : 무이자
(2자녀) : 무이자 + 원금 50% 감면
(3자녀) : 무이자 + 원금 전액 감면
*신청방법 : 지점은행 방문 + 가족관계증명서
육아휴직 급여 상향
월 최대 250만원 + 중소기업 근무시 50만원 추가 지원
(1~3개월) : 최대 250만원 / 통상임금 100%
(4~6개월) : 최대 200만원 / 통상임금 100%
(7개월 이후) : 최대 160만원 / 통상임금 80%
*신청방법 : 고용노동부 고용24
*사전신청시 선지급 방식 도입
아동수당 확대
기존 만 8세 미만 → 만 18세 미만까지 확대
월 10 ~ 20만원
*신청방법 : 기존 아동수당 수급자라면 자동 전환
유치원 무상교육 확대
기존 국공립 중심 → 사립 유치원까지 무상 적용
초등 전 학년 돌봄 서비스
(운영시간) 방과후 ~ 20시까지
*신청방법 : 학교 연계 플랫폼
기타제도
(교육비 세액 공제 확대)
- 초등학생 예체능+체육 학원비 공제, 연말정산 세액 공제율 15%
(우리 아이 자립펀드 신설)
- 자녀 명의로 월 10만원씩 자동적립 / 비과세 / 연간 120만원 정부지원
(공공산후조리원 전국 확대)
- 민간에 비하여 80만원 저렴한 수준
- 보건소 또는 지자체 복지포털 이용
정부 지원은 '놓치면 손해'이므로
꼼꼼히 챙겨야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출산율 저하로 인하여
다양한 혜택이 생기고, 확대되는 만큼
제도 관련하여 복지로 사이트, 정부24 등
상세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