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노무상식/상식잡식

관세법인 순위(ft.관세사 장단점)

by 놈므파탈 2025. 3. 15.
반응형

서울 내 본사를 둔 관세법인의 연간 매출액 기준으로 순위를 매겨보았습니다.
상대적으로 법무법인, 세무법인과 비교했을 때 매출액이 다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이했던 부분은 대형 관세법인의 설립연도가 2008년도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수 있는데,
무슨일이 있었나
그 배경을 찾아보니 (현업 관세사분들께서 깊은 사정은 더 잘 알고 계시겠지만)
1) FTA체결 2) 전자통관시스템 도입 3)물류글로벌화 4) 관세사 자격증 증가 등 주요 경제적, 법적 변화들을 원인이라고 하네요.

관세사 장점

1. 전문자격증 
자격증 자체가 고유의 직업이기 때문에 특수영역에서의 전문가라는 직업의식을 갖게 함

2. 커리어 선택지의 다양성
관세법인 / 개업 / 일반기업 등 취업 및 이직이 상대적으로 용이함

3. 직무만족도(성취감)
전문가로서의 수행하는 직무가치가 높고, 단순노동에 비하여 성취감을 갖게 함

 

관세자 단점

1. 시장상황(가격경쟁)
관세사 업무 중 가장 큰 비중은 수출입신고대행이라고 할 수 있으나,
서비스의 품질 측면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창출하기 어려워 업역 내에서 수수료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

2.협소한 업역(작은 파이)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노무사 등의 경우, 모든 기업체에 수요가 있지만
관세사의 경우 수출/수입을 하는 사업체에 국한되어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협소함

3. 가장 중요한 역량= 영업력
타 자격사들도 마찬가지이지만, 결국 영업능력이 성공의 핵심역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