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노무상식/상식잡식

정치 얘기하면 왜 자꾸 싸울까? 좌파 우파 뇌 구조가 다르다.(ft.기질 차이)

by 놈므파탈 2025. 4. 27.
반응형

'정치 얘기는 하면 안된다. 싸움나니까.'
정치를 모르는, 정치에 관심없는 사람들 조차
하는 말입니다.

각자의 가치관, 정치적 신념, 좌파/우파, 진보/보수가
구분되는 것은 뇌구조, 기질적인 차이에 기인한다는
윤홍식 대표의 강연이 인상적이어서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좌파 / 우파 

(좌파)
사회적 평등을 추구하고, 평등주의를 지향하는 정치적 입장을 말합니다.
진보주의적인 성향을 의미하며 국가 권력의 통제에 의한 불평등의 해소를 추구합니다.
- 경제적 평등 / 분배 / 국가주도 경제 / 노동자 입장 대변 / 사회 전체 이익 중시

(우파)
기존의 사회질서나 시스템, 사적 자유를 지향하는 정치적 입장을 말합니다.
보수주의적인 성향을 의미하며, 변화보다는 안정, 평등보다는 자유를 중시합니다.
- 경제적 효율 / 성장 / 시장주도 경제 / 시장과 기업 입장 대변 / 사적 이익, 경제적 자유 중시

뇌구조 / 기질적 차이

좌파와 우파는 기질적인 차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각자 뇌 구조가 다르다고 하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면,

우파는 '실리추구형'으로서
호리피해(好利避害)입니다.
이익은 좋아하고, 손해를 싫어합니다.

내가 원하는 것을 얻어야겠다는 기질
실리를 추구하고 당당하게 욕망을 추구하는 것을
즐기는 타입이고
대놓고, 이익은 좋아하고 손해는 싫어하는 기질이
우파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부조리와 부도덕에 대한 수용능력이 큽니다.
'사람이 그렇지 뭐~'

우파적 뇌를 가진 사람이
좌파적 뇌를 가진 사람을 만나면
혐오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좌파는
호선호악(好善好惡)압나더,
앞에서는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한다는 명분을 두고
뒤에서 호리피해를 추구하는 타입입니다.
즉, 겉으로는 착한 사람으로 보여야 합니다.

탐욕보다는 분노에 예민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간의 부조리나 비도덕적인 것을 보면,
광적으로 혐오하는 스타일입니다. 

뉴스에서 인간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사건이 나오면
'야, 저게 사람 새끼냐?'
분노하게 됩니다.

 

정치싸움이 일어나는 이유

우파든 좌파든
양심에서 볼 때는 둘 다 어긋나있습니다.

에서 봤을 때는
저정도 화낼일이 아닌데 화를 냅니다.
vs
에서 봤을 때는
이건 화를 내야하는데 화를 안냅니다.

서로 기질이 달라서 일어나는 일이라고 합니다.
기질이 다르면 상대방이 이해가 안 됩니다.

저자식은 왜 저런식으로 말을하고 행동하지?

이해가 안되니까 혐오감이 쌓여갑니다.

무지가 혐오를 낳습니다.

혐오가 쌓여가던 중에 
어떠한 계기, 사건이 발생합니다.
정치적 싸움이 커지는 것은
서로가 이해를 못하는 상황에서
거기에다 자신들의 생계문제까지 연관되는 경우
더욱 강하게 투쟁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우파적 기질을 가진 사람입니까?
좌파적 기질을 가진 사람입니까?

반응형